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유전자검사
- 시신경위축
- 레베르선천성흑암시
- 유전자치료
- 태아유전자검사
- gucy2d
- retinitis pigmentosa
- 망막색소변성
- 원뿔세포이영양증
- RP2
- ssbp1
- 레베르선청성흑암시
- 스타가르트
- 유전성망막병증
- 유전성안질환
- arvo
- 유전성망막질환
- 와그너증후군
- 눈떨림
- achromatopsia
- vcan
- 레베르 선천성 흑암시
- 레베르 유전성 시신경병증
- wagner syndrome
- 유전성시신경병증
- 가족성삼출성유리체망막병증
- FEVR
- 전색맹
- 흑암시
- RP1
Archives
- Today
- Total
한진우의 사시 이야기
LANCET에 발표된 GUCY2D 유전자 치료제 ATSN-101 임상 시험 요약 본문
개요
- 대상 질환: GUCY2D 양성 돌연변이로 인한 레버 선천성 흑암시(LCA1).
- 목표: AAV5 벡터를 이용해 GUCY2D 유전자를 망막에 전달하여 시각 기능 개선.
- 연구 설계: 1/2상 임상 시험(안전성 및 예비 효능 평가).
임상 시험 설계
- 참가자: 15명(성인 12명, 소아 3명)의 유전적으로 확인된 LCA1 환자.
- 투여 방법: 망막 하부 주사(Subretinal Injection)로 단일 투여.
- 용량 증강 단계: 3개 성인 코호트(저·중·고용량).
- 용량 확장 단계: 고용량 추가 투여(성인 3명, 소아 3명).
- 평가 항목:
- 안전성: 치료 관련 부작용(TEAEs) 발생률.
- 효능: 암적응 시야 검사(FST), 최대 교정 시력(BCVA), 다중 광도 이동 테스트(MLMT).
주요 결과
- 안전성:
- 총 68건의 부작용 발생(대부분 수술 절차 관련).
- 약물 관련 중대한 부작용은 없었으며, 경미한 염증 반응은 스테로이드로 조절 가능.
- 3건의 심각한 부작용(황반원공, 망막박리, 안내염)은 수술과 관련되었고, 모두 치료 후 회복됨.
- 효능:
- 고용량 투여군(1.0×10¹¹ vg/eye):
- 암적응 FST 민감도 20.3 dB 개선(대조군 대비 유의미함, p=0.012).
- 6명 중 3명이 MLMT 최고 점수(6점) 달성.
- BCVA 평균 -0.16 logMAR 개선(시력 향상 경향, p=0.10).
- 효과는 28일 후부터 관찰되어 12개월 이상 지속됨.
- 고용량 투여군(1.0×10¹¹ vg/eye):
의의
- 첫 번째 GUCY2D 표적 유전자 치료: LCA1 환자에게 잠재적 치료 옵션 제시.
- 안전성 입증: 중증 부작용 없이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이 입증됨.
- 미래 방향: 3상 임상 시험을 통한 효능 검증 및 장기적 결과 모니터링 필요.
한계점
- 소규모 샘플(15명)로 통계적 유의성 한계.
- 개방형 연구 설계로 인한 편향 가능성.
- MLMT 기준점 데이터 부족 및 환자 간 효과 차이 존재.
결론: ATSN-101은 GUCY2D 변이 LCA1 환자에서 안전성과 유망한 효능을 보였으며, 향후 대규모 임상 시험을 통해 치료 효과가 입증될 것으로 기대됨.
※ 원문: Lancet 2024; 404: 963-70.
Baseline에서 마이너스로 logMAR 시력이 나타난 환자들이 시력이 호전된 환자임. logMAR 시력 1.0 이 우리가 흔히 이야기 하는 시력차트로 0.1 을 의미함. 고용량 군에서만 평균 -0.16 logMAR의 시력개선이 있었지만 임상적으로 크게 유효하다고 이야기하기에 아직 부족함. 왜냐하면 0.1에서 0.2로 시력이 호전되기 위해서는 -0.3 logMAR의 시력개선이 있어야되기 때문임.
'레베르 선천성 흑암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DE6C 유전이상에 의한 전색맹 질환 (0) | 2017.12.03 |
---|---|
역분화 줄기세포주 개발 사업 (2) | 2017.03.28 |
레베르 선천성 흑암시를 일으키는 CEP290 유전이상 (2) | 2017.01.15 |
CRB1 유전이상에 의한 레베르 선천성 흑암시 (0) | 2017.01.12 |
레베르 선천성 흑암시에서 유전자 검사의 정확성 (0) | 2016.07.18 |